본문 바로가기

(차성인)푸른 숲 수필가·20100/청림·20100의 습작 시

[스크랩] (청림/산문시-ㅋ)1712.키

청림산문

1712.

이영백

cafe.daum.net/purnsup

 

그렇게 평생을 따라 다니는 부족함이 있었다.

남자로 태어나서 잘 먹지 못하고 평생을 골골하게 살았기에

도무지 그것이 크려고 생각을 하지 못했다.

우리는 흔히 *는 작아도 담은 크다.’고 한다.

분명한 것은 키는 작아도 용감한 사람을 부추겨 칭찬하는 말일게다.

 

나는 키가 작았다.

겨우 163cm로 난장이를 면할 수준이었다.

하기는 남자로서 군대 동기는 148cm도 있어서 AR소총을 매지 못했다.

 

늘 스스로의 불만이 키 작음에 있었다.

그래서 키 크고 싱겁지 않은 사람 없다라는 속담을 좋아하였다.

키가 너무 큰 사람의 행동은 멋없어 보인다는 것에서 자족하였다.

 

그래서 키꺽다리라는 별명도 붙였고,

키꼴이라고 하여 키가 큰 체격이란 속어도 좋아하였다.

키다리는 비록 별명이지만 키 작은 난장이 보다는 좋게 느껴졌다.

 

군에서는 키가 큰 사람이 기준이 되었다.

키 작은 사람은 항상 뒤로 밀리었다.

소대장이 성질이 나서 키 큰 사람부터 때리기를 하다가 그만 지쳐서

키 작은 사람까지는 다가오지를 않았을 때는 좋았다.

 

그래도 왠지 키가 작으니까 자꾸 행동이 움츠러들고 자신이 부끄러웠다.

킷값 하라는 말은 키가 큰 만큼 부끄럽지 않게 행동하라는 것이다.

 

키로 인하여 잘못하다가 결혼도 못할 뻔하였다.

 

(청림/20100. 20171009.)

*: 생물의 선 몸의 길이. 신장身長. 체고體高. 선 물건의 높이.

----------------

李 泳 伯 (1950) 경주. 대구거주. 靑林. 필명 청림숲힐.

교육자 교육행정가 보학가 수필가

-------------------

계명대학교교육대학원 교육학석사/차성이씨중앙대종회 사무총장

) e이야기와 도시 대표/ ) 영남이공대학교 50년사 편찬위원

2012년 월간 한비문학 신인문학상 수필부문수상으로 수필가 등단

한국한비문학회 회원/수필과지성문학회 부회장

6회 한비신인 대상 수상(201212)

LH 여성동아 공동 에세이 공모전 동상 수상(20131)

매일신문사 제1회 매일시니어문학상 논픽션 우수상 수상(20157)

매일신문사 제2회 매일시니어문학상 수필 특선 수상(20167)

10회 한비 작가상 수상(201611)

DGB 50주년 스토리공모전 우수상 수상(2017920)

출처 : 청림작가 이영백
글쓴이 : 청림작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