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성이씨 시조/차성(車城)지명(地名)

[스크랩] 기장(機張)이란 명칭은

 

기장(機張)이란 명칭은

 

통일신라 경덕왕 16년(757)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계속 한자음(漢字音)으로 사용되고 있다. 기장이란 명칭을 사용하기 이전에는 ≪삼국사기≫ 권34, 잡지3 양주 동래군조에 갑화양곡(甲火良谷)에서 기장으로 개명되었다고 기록하고 있으므로 갑화양곡이라 불리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기장은 ≪고려사≫ 권57, 지리2 양주조에 다른 이름으로 차성(車城)이라고도 기록되어 있으므로 차성이라고도 불리어졌음을 알 수 있다.

기장에 관한 역사적 명칭이 3가지로 사용된 이유

첫째, 갑화양곡이란 명칭은 어디에서 유래하였을까?

 

갑화양곡이란 이름이 어디에서 유래되었는지를 알려면, 바로 이웃한 동래의 지명 변경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동래군은 경덕왕 16년 이전에는 거칠산군(居柒山郡)이었고, 거칠산군은 ’거칠다’의 우리말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거친 뫼’ 즉 황령산을 끼고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그렇다면 갑화양곡도 우리말을 한자음화 한 이두식 지명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갑화양곡을 이두식으로 풀이하면 갑국(甲國) 또는 갑향(甲鄕)이라는 의미가 될 것이다. 갑향의 갑은 음독하여 갓[邊]과 통하는 것으로 보고 갓마을[邊城-변두리마을]이라 하기도 하고, 갑을 대(大)로 보고 ’큰마을’로 보기도 한다.

그리고 갑의 자전적 의미는 10간의 첫글자로서 수(首)=시(始)=초(初)와 같고, 차례와 등급의 첫째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어의를 그대로 살린 ’첫째 마을’ ’첫마을’이라고 볼 수도 있다.

즉, 바다를 생활터전으로 삼고 있는 주민들이, 바다에서 육지로 귀환할 때 처음으로 닿는 정감어린 표현이 지명으로 정착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둘째, 갑화양곡이란 명칭은 어디에서 유래하였을까?
갑화양곡에서 기장이란 명칭으로 변화된 이유에 대해서는 경덕왕 16년의 한화정책(漢化政策)과 관련이 있는데, 즉 통일신라는 이때에 통일신라의 모든 제도와 지명의 명칭을 한자식으로 변화시켰다. 이에 따라 갑화양곡에서 기장이란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먼저 이러한 기장의 명칭은 ≪書經≫ 고우기장주(苦虞機張註)에 기(機)는 노아(弩牙)라 하고, 또 노기기장(弩機旣張)이라 하여 갑병으로 국토를 지키기 위하여 이곳 변방인 기장을 수비한데서 명칭이 유래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다음으로 기장이란 명칭을 사용한 이유는 기장지역의 지형적 모습과 관련하여 현 기장읍의 소재지가 일광산을 배산으로 하여 베틀(機)을 차린(張) 형국이라는 것에서 기장이라 불렀다고 한다.

그러나 우리의 고유지명을 한자식으로 개명할 때 주로 중국의 고사나 중국의 지명에서 많이 따온 점을 고려한다면 후자는 후대에 기장을 풍수지리적인 입장에서 풀이한 것으로 보여지므로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갑화양곡이란 명칭은 어디에서 유래하였을까?
별칭으로 차성으로 불리어진 이유는 차(車)는 정수리(首)를 뜻한다고 볼 수 있다.

차성은 수성이다.
해안과 접하는 군사상의 요충지로서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기장을 차성으로 부르게 된 듯하다.

이상에서 살펴볼 때 기장의 명칭은 해안과 접하고 있으면서 변경의 군사상의 요충지라는 점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Daum  http://cafe.daum.net/onesbirthplaceheart 

 Daum  http://blog.daum.net/kyh16722/38  김유환불로그

출처 : 기장 도시계획 연구소 김유환
글쓴이 : 김유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