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 과꽃을 그리며
이영백
나는 초등학교 교사를 고학년만 내리닫이 맡았다. 초임 3년간 4, 5, 6학년, 두 번째 4, 6학년, 세 번째 6학년, 네 번째 5, 6학년, 마지막 학교는 6학년 등 그러면서 학생들에게 가르친 동요 중에“과꽃”이 가장 많이 가르친 것으로 기억하고 있다.
1) 올해도 과꽃이 피었습니다./꽃밭 가득 예쁘게 피었습니다.//
누나는 과꽃을 좋아 했지요./꽃이 피면 꽃밭에서 아주 살았죠.
2) 과꽃 예쁜 꽃을 들여다보면/꽃 속에 누나 얼굴 떠오릅니다.//
시집간 지 온 삼년 소식이 없는/ 누나가 가을이면 더 생각나요.
나도 그랬다. 정작 “과꽃”동요를 계속 가르쳤으면서도 가르치는데 삶이 바빴는지 모르겠지만 천지 아무것도 모르면서 노래만 가르쳤다. 도대체 과꽃이 무엇이며, 어떻게 생겼으며, 무슨 색깔이었으며, 어떠한 꽃이기에 우리들의 마음을 이리도 쏙 빼는 가사였는지 진정 몰랐다. 이제 글을 쓰고 살면서 과꽃을 조금은 알 것 같다. 마치 나의 친누나 같은 꽃이여.
과꽃, 과연 당신은 누구인가요? 먼저 이름의 유래에 관해서는 여러 설이 있었다. 국화를 닮은 모양새로 ‘국화+꽃’을 빨리 발음한 것에서 왔다는 설, 과부를 지켜냈던 꽃에 관한 전설 이야기에서 “과부 꽃”이 “과꽃”이 되었다는 설 등이 그것이다.
과꽃은 본디 우리 남쪽 지방의 것이 아니었다. 중국의 원산지 중에 하나로 삼는다. 꽃차례가 꽃잎처럼 보이는 설상화를 이루기도 한다. 설상화는 하얀색이나 연노란색에서부터 분홍색·장미색·붉은색·푸른색·자주색·보라색 등 여러 가지 색을 띤다. 한국의 과꽃은 7 ~ 9월에 푸른빛이 도는 자주색으로 피며 꽃대 끝에 두상꽃차례가 하나씩 달린다.
한반도에서는 예전부터 북한의 부전고원이나 백두산 근처에서 발견할 수 있었으며, 홑꽃 종류들이 많았다. 적합한 생장환경으로는 알칼리성의 흙이 있고 배수가 잘 되는 땅에 산다.
이러하기에 남쪽지방에는 잘 없었다. 그러나 이 꽃이 한해살이 꽃으로 남부지방에 심어두고 여러 가지 꽃 색깔을 감상하기에 너무 좋아서 자꾸 식재가 번져갔다. 내가 어렸을 때는 길가나 사람이 사는 집 주변에서도 숨어 살다시피 하여 단아한 모습으로 마치 국화처럼 피어주었다. 과꽃은 튀지도 않으면서 수수한 꽃으로 마을어디에서도 습한 쪽이면 잘 자라 주었다. “올해도 과꽃이 피었습니다.”라는 가사로 우리들 정서를 울려준다.
(20200605. 망종 ㆍ 환경의 날)
'(차성인)푸른 숲 수필가·20100 > 늚이의 노래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엽서수필) 67. 족제비싸리나무 꽃이 필 때 (0) | 2020.06.07 |
---|---|
(엽서수필) 66. 잉걸불을 쬐며 (0) | 2020.06.06 |
(엽서수필) 64. 빈 들녘 (0) | 2020.06.05 |
(엽서수필) 63. 못에서 (0) | 2020.06.03 |
(엽서수필) 62. 낮달 (0) | 2020.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