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성인)푸른 숲 수필가·20100/청림·20100의 습작 시

[스크랩] (청림/산문시-ㅇ)1472.일부토一抔土

청림산문

 

1472.일부토一抔土

이영백

cafe.daum.net/purnsup

인간으로 태어나는 날,

그때부터 우리는 돌아가는 날을 운용하고

언제 죽을 지도 모르면서 잘도 살아간다.

 

왕후장상王侯將相, 고관대작高官大爵이라도 이를 어길 수 없다.

아니, 아무리 재산이 많은 재력가라도 이를 어길 수 없으니

인간 절대원칙이다.

 

이병철이 돈이 없어 죽었으며,

정주영이 돈이 없어 죽었겠는가?

한 줌의 흙인 일부토一抔土*로 돌아가는 게 인간인데

살아생전 좋은 일은 하지 못하더라도

나쁜 일은 하지 말고 살아야지.

 

어디 세상 살아가면서 제 이 취할 것 모두 취하고,

잡초 밟아 죽이듯 하고 사는 인간들도 있다네.

그 무슨 살아생전에 그렇게 못된 짓만 하고 사는가?

 

나 없는 돈에 하고 많은 걱정거리로 안주삼아 술이나 마시고자 한다.

그렇다고 할 일 없어 그런 건 아니지.

나도 계획적으로 이만큼 실타래를 풀어 놓았으면

비록 무계획적이라도 저만큼 실적을 남길 것이네.

 

한 줌의 흙으로 돌아가는 우리네 인생.

둥글둥글하게 살아가는 여유도 갖고,

조금 남도 도와 줄줄 알고,

저 세상 가는 길에 한 줌의 흙으로 변할 때 변하더라도 그렇게 삶 세.

(청림/20100. 20170208.)

*일부토一抔土 : 한 줌의 흙. 곧 무덤.

----------------

李 泳 伯 (1950∼) 경주産. 대구거주. 호 靑林. 필명 청림술힐.

●교육자 ●교육행정가 ●보학가 ●수필가

-------------------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교육학석사

○차성이씨중앙대종회 사무총장

현) e이야기와 도시 대표

현) 영남이공대학교 50년사 편찬위원

●2012년 월간 한비문학 신인문학상 수필부문수상으로 수필가 등단

○한국한비문학회 회원

○수필과지성 창작아카데미 수료

●매일신문사 제1회 매일시니어문학상 논픽션부문 우수상 수상(2015년 7월)

●매일신문사 제2회 매일시니어문학상 수필부문 특선 수상(2016년 7월)

●제10회 한비 작가상 수상(2016년 11월)

출처 : 청림작가 이영백
글쓴이 : 청림작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