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작 시 |
233. 계삼탕鷄蔘湯
이영백
cheonglim03@hanmail.net
삼계탕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 본래의 이름은 계삼탕鷄蔘湯*이라네.
복날은 속절(俗節)로서 초복, 중복, 말복이 있네.
삼복의 유래는 고대 중국에서 왔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삼복 때 먹는 음식으로는 보신탕과 삼계탕이네.
초복 : 하지로부터 60갑자 중 세 번째 경庚일
중복 : 초복으로부터 10일째 되는 날, 즉 경庚일
말복 : 중복으로부터 10일째 드는 날, 경庚일
중국 후한의 유희가 지은‘석명’에 복은 오행설에 있어서 가을의 서늘한 금기金氣가 여름의 더운 화기火氣를 두려워 해 복장伏藏, 엎드려 감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네.
최남선 조선상식에 서기제복暑氣制伏이라, 여름 더위를 꺾는 날이라네.
또 조선시대 궁에서는 종묘에 피, 기장, 조, 벼 등을 올려 제사지내고 더위를 이겨내라는 뜻에서 높은 벼슬아치들에게 빙표氷票를 주어 얼음을 타 가게 했다네.
복날 더위를 피하기 위해 술과 음식을 마련해 계곡으로 들어가 탁족을 하거나 산정에서 노는 풍습도 있었네.
복날은 개나 닭고기를 먹으며 지친 몸을 보하거나 수박이나 팥죽 같이 차가운 음식을 준비해 시원한 곳에서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며 겸허히 자신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던 날이라네.
(푸른 숲/20100. 20130831.)
*계삼탕鷄蔘湯 : 어린 햇닭의 내장을 빼고 인삼을 넣어 곤 보약.
출처 : 푸른 숲/20100
글쓴이 : 62seonsang 원글보기
메모 :
'(차성인)푸른 숲 수필가·20100 > 청림·20100의 습작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푸른 숲/20100습작 시)235.고개 (0) | 2013.09.02 |
---|---|
[스크랩] (푸른 숲/20100습작 시)234.계집 (0) | 2013.09.01 |
[스크랩] (푸른 숲/20100습작 시)232.계면떡 (0) | 2013.08.30 |
[스크랩] (푸른 숲/20100습작 시)231.계구우후鷄口牛後 (0) | 2013.08.29 |
[스크랩] (푸른 숲/20100습작 시)230.경육鯨肉 (0) | 2013.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