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성인)푸른 숲 수필가·20100/늚이의 노래 1

(엽서수필) 84. 뽕따러 가세

84. 뽕따러 가세

 이영백 

 

 뽕잎 따는 처녀는 늘 화려한 도회지 밤이 그립다. 도회지에서는 고된 일을 하지 않아도 화려함 속에 맛있는 음식을 먹고 사는데 시골에서는 늘 고된 일만 기다렸다. 머리에 수건 질끈 동여 맨 처녀농군들의 그 씩씩함은 유별나다.

 우리 집에서도 작은 아버지 밭 경계선에 우리 집 뽕나무가 심겨져 있어서 해마다 춘잠을 먹이는 데 뽕잎이 많이 달린다. 뽕나무는 우선 잎으로 하여 누에의 밥이 된다. 뽕나무를 시골에서 귀하게 여기는 것은 바로 누에치기를 위하여 그렇게 심은 것이다.

 뽕나무는 고목이 된 나무에서는 잎이 덜 열리고 대신에 오디가 많이 열린다. 그러기에 아버지는 묘목시장에서 신품종나무를 사와서 심었다. 이듬해 줄기가 잘 자라 주면서 덩달아 잎도 넓고 싱싱하여 누에 밥으로 좋았다.

 누에는 일 년에 두 번 친다. 봄에 치면 춘잠(春蠶)이라 하고, 가을에 치면 추잠(秋蠶)이라고 한다. 엄마는 해마다 이 춘추잠으로 고치를 생산하여 짭짤한 수입을 얻는다. 벼농사는 순전히 아버지 주도하에 생산되는 벼를 관리하여 논밭을 사고 형님누나 결혼자금으로 사용되지만, 누에는 순전히 엄마의 노고에 대한 환금수단이기 때문에 가장 든든한 수입원이 된다.

 엄마는 그도 그럴 것이 열 자식 키우면서 소소한 돈이 많이 필요한데 엄한 아버지라 시대적으로 그렇게밖에 살 수 없었다.

 춘잠을 크게 먹이었다. 누에 먹이는 규모는 봄에 고치를 두면 나방이 입으로 산을 내뿜어서 고치를 녹인 후에 바깥으로 나와서 일백여 개의 알을 낳는다. 이를 종이에 직경으로 약 4cm정도로 말아서 세워 놓고 그 속에 나방 한 마리씩을 넣어놓으면 바닥에는 빙글빙글 돌면서 낳은 알이 가지런히 착석을 한다. 이를돌뱅이라고 불렀다. A4용지 한 장이면 약10개의 동그라미모양의 알을 얻게 된다. 5매가 누에 한 장이라고 한다.

 엄마는 봄에 새카만 벌레蟲蠶가 나오면 연한 뽕잎을 따다가 칼로 썰어서 얹어두면 그때부터 누에가 자라난다. 하루가 다르게 크게 자란다. 비가 오면 뽕잎을 따다가 일일이 물을 닦아서 습기를 줄여서 썰어 준다. 그러나 3일 후부터는 잎을 저절로 갉아 먹는다.

 뽕 많은 집은 괜찮은데 뽕잎이 모자라면 밤에 뽕을 훔치러간다. “의 영화에서처럼 누에가 뭣인지 그렇게 누에가 잘 먹는 뽕이 없으면 몸을 팔아서라도 뽕잎을 얻는다. 그래도 뽕따러 가세.

(2020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