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성인)푸른 숲 수필가·20100/청림·20100의 습작 시

[스크랩] (청림/산문시-ㅌ)1731.탈락脫落

청림산문

1731.탈락脫落

이영백

cafe.daum.net/purnsup

 

J교수는 전직 같은 직장에서 건축학을 전공하신 분이다.

은퇴를 하고서도 왕성한 공부는 더욱 열심이었다.

내가 국문학 한 것을 알고 그렇게 박학하면서도

국문학에 대하여 곧잘 의문을 가져와서 호기심을 자극 시킨다.

 

느닷없이 질문을 날린다.

불조심이 부조심이 안 되는 것은 우리 고유어 불 때문이라고 하고,

불을 관리하는 삽을 부삽이라 하는 것은 앞이라 그런가 물었다.

확실히 국문학에는 부족하였다.

 

국문학 문법에서는 탈락脫落*”이라 한다.

정리하면 한자어 불()

뒷말의 첫소리가 ,일 때 []로 소리 냅니다.

 

不偏不黨 - 앞에서 이 탈락.

不可不得 - 앞에서 이 탈락.

不大不小 - 앞에서 이 탈락.

불식不知不識 - 앞에서 이 탈락.

정부패不正腐敗 - 앞에서 이 탈락.

 

탈락된 은 어디로 갔을까요?

글자에서 탈락만 있는 것이 아니라

세상 살면서 탈락되는 순간이 무서운 것이다.

세상 사람은 탈락 안 당하려 직장에서 그렇게 아등바등 하는가 보다.

 

(청림/20100. 20171028.)

*탈락脫落 : 빠져 버림. 둘 이상의 음절이 접속할 때 한 쪽의 모음이나 자음 또는 음절이 없어져 약음約音으로 되는 일. ‘어제저녁엊저녁’, ‘사닥다리사다리로 되는 따위.

----------------

李 泳 伯 (1950) 경주. 대구거주. 靑林. 필명 청림숲힐.

교육자 교육행정가 보학가 수필가

-------------------

계명대학교교육대학원 교육학석사/차성이씨중앙대종회 사무총장

) e이야기와 도시 대표/ ) 영남이공대학교 50년사 편찬위원

2012년 월간 한비문학 신인문학상 수필부문수상으로 수필가 등단

한국한비문학회 회원/수필과지성문학회 부회장

6회 한비신인 대상 수상(201212)

LH 여성동아 공동 에세이 공모전 동상 수상(20131)

매일신문사 제1회 매일시니어문학상 논픽션 우수상 수상(20157)

매일신문사 제2회 매일시니어문학상 수필 특선 수상(20167)

10회 한비 작가상 수상(201611)

DGB 50주년 스토리공모전 우수상 수상(2017920)

출처 : 청림작가 이영백
글쓴이 : 청림작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