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림산문 |
1254. 십구공탄十九孔炭
이영백
cafe.daum.net/purnsup
어렸을 때 우리 집 연료는 나무나 짚이었다.
덕택으로 산에 올라가서 연료를 채취하여 와야만 했다.
인간이 살아가는 곳에서는
이렇게 난방과 음식을 만들기 위해 연료가 필요하였다.
나는 난방 및 연료용으로 연탄이 있다는 것을
도회지로 나와서 처음 알았다.
고등학교 2학년 때 입식立食하는 가정교사를 하면서
11월 말에 최초로 연탄을 피웠다.
방바닥의 틈새로 나온 연탄가스를 먹었다.
저승으로 갈 번 하였다.
연탄가스를 먹고서는 그 아르바이트를 치워 버렸다.
교육대학을 입학하고 자취하면서
난방과 취사용으로 연탄을 사용하였다.
주인아주머니의 배려로 연탄 밑불을 하나 얻어 피었다.
그리고 위에 새 연탄을 얹어 밥과 반찬을 하여 먹고 살았다.
그런데 연탄에 구멍이 나 있다.
그 구멍이 열아홉 개였다.
그래서 우리는 그것을 십구공탄十九孔炭*이라 불렀다.
겨울눈이 오니까 비탈길 미끄럽다고 연탄재를 뿌려 두었다.
연탄은 무연탄과 유연탄이 있는데
다행이 우리나라에는 무연탄이 많이 났다고 한다.
새카만 십구공탄, 연탄이 그리워졌다.
(청림/20100. 20160628.)
*십구공탄十九孔炭 : 19개의 구멍이 있는 연탄煉炭.
---------------------
(퍼 온 사진)
*19공탄 만드는 틀(석탄박물관)
소녀의 어여쁜 양 손에 든 연탄
*꺼지기 전에 갈아야 는 연탄불
----------------
李 泳 伯 (1950∼) 경주産. 대구거주. 호 靑林. 필명 청림/20100.
●교육자 ●교육행정가 ●보학가 ●수필가
-------------------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교육학석사
○차성이씨중앙대종회 사무총장
현) e이야기와 도시 대표
현) 영남이공대학교 50년사 편찬위원
●2012년 월간 한비문학 신인문학상 수필부문수상으로 수필가 등단
○한국한비문학회 회원
○수필과지성 창작아카데미 수료
●매일신문사 제1회 매일시니어문학상 논픽션부문 우수상 수상(2015년 7월)
'(차성인)푸른 숲 수필가·20100 > 청림·20100의 습작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청림/산문시-o)1256.아지랑이 (0) | 2016.06.30 |
---|---|
[스크랩] 청림/산문시-ㅅ)1255.아들 (0) | 2016.06.29 |
[스크랩] 청림/산문시-ㅅ)1253.심통心統 (0) | 2016.06.27 |
[스크랩] 청림/산문시-ㅅ)1252.심지 (0) | 2016.06.26 |
[스크랩] 청림/산문시-ㅅ)1251.심월心月 (0) | 2016.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