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성인)푸른 숲 수필가·20100/청림·20100의 습작 시

[스크랩] (푸른 숲/20100습작 시-ㅁ)672.모내기

신작시

672. 모내기

이영백

cafe.daum.net/purnsup

 

눈 감으면 떠오르는 그 옛날의 논농사 짓던 일.

아버지 손가락에서부터 상처투성이요, 손바닥도 주절껍질이다.

손가락 마디마다 헝겊 찢어 밥으로 이겨 감은

밥 참한 손가락이다.

 

모내기* 하는 날 온 동네 사람들이 두레 하면서

모심을 논바닥 써레질 하면

고추잠자리 제철 만난 듯 하늘을 뱅뱅 돌고,

제비들 하늘 높이 공중서커스를 한다네.

찐 모 바지게로 이동하여 논바닥에 내어 던지고,

못줄 늘여 펼치면

모심기 노래 한 가락이 시작을 알리네.

못줄 따라 허리 굽혀 모를 움켜진 손놀림이 예사롭지 않네.

못줄 따라 옆 사람까지 심다가 돌아오면서 안 줄에 모를 또 심는다.

한 번 허리 굽혀 모를 심고, 또 심으면 끊어질 듯 허리아파 온다.

구성진 모심기 노래 가락 속에는

아이가 들어 과한 내용 가사도 흘러나오고,

후렴으로 아픈 허리 잊어버리려고 “휘∼후∼야∼!”를 따라 한다.

허리 아프고 배고프면 저 멀리 머리에 이고 오는 사람이 보인다.

아침 참, 새참이 못밥으로 나온다.

새참은 구경하는 사람들에게도 한 그릇씩 다 돌아간다.

내리는 소낙비에 국수 국물이 먹어도, 먹어도 줄지를 않네.

 

새참 먹고, 쉬고 다시 시작하는 모내기는

오후 새참 먹고, 들판에 어둠이 내린 후에 마친다.

모내기 후에 잘 키워서 가을 수확을 기다린다.

 

(푸른 숲/20100. 20141123.)

*모내기 : 모 내는 일. 이앙移秧.

------------------

(퍼 온 사진)

 

 

 

 

 

 

 

 

 

 

 

 

 

 

 

 

출처 : 푸른 숲/20100(수필가 이영백)
글쓴이 : 62seonsang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