엽서수필 5 : 또 천 년의 달빛 흐르는 형산강 |
36. 강과 무당
이영백
여성의 무당은 “무녀(巫女)”라고 하며, 남성의 무당은 “박수”라고 한다. 어린 날 새보 봇머리에 사는 동네 아주머니 집에서 굿을 하였다. 나중에 알고 보니 개인만 혜택을 받으려고 굿을 한 것이 아니었다. 동네 집집마다 평안하라고 “마을 안택(安宅)굿”을 공동 기원하던 굿이다.
무당은 인간의 소망을 신에게 고하고, 또 신의 의사를 탐지하여 이를 인간에게 계시해주는 영매자로서의 구실을 맡은 것이다. 어린 날 배는 고프고 긴 밤을 지새우지 못하여 엄마 손 잡고 굿하는 집에 따라 갔다. 서너 평 좁은 방에도 조밀하게 앉았다. 머리방방문을 열어두고 무녀가 칼춤 추고, 박수는 북 놓고, 사람 간이 떨리도록 크게 쳐 대서 정신이 없었다.
무당은 “지신강아(至神降我)”라고 하여 신이 곧 자기의 육신에 접하였음을 자처하고, 자기가 말하는 것이 곧 신의 계시임을 강조함으로써 그 예언이 절대적이다. 뿐만 아니라 맹신하던 시대였기에 허울 좋게 ‘마을의 평안을 기원한다.’는 의미에서 “마을 안택굿”을 하는 것이다.
둥~ 둥~ 둥~! 가슴이 떨리도록 북 치고, 타악기 흔들고, 칼춤 곁들이면 구경하는 사람들조차도 그 신비에 빠져든다. 집집마다 아프고, 슬프고, 괴로움 들추어내어 신령스럽게 해결을 증명하려는 듯하다. 기원하는 말도 순진무구한 사람들을 호려댄다. 한밤에 이르러 백 떡을 나누어 준다. 그 떡 얻어먹으려고 귀가 뚫어져라 쳐대는 타악기 소리에도 붙어 앉아 있었다.
새벽이 다가오면 굿 구경하는 사람들도 모두 졸고 있다. 그때 무당이 무슨 말을 하는지조차도 모르고 타악기 소리에 점점 익숙하여 선잠을 잔다. 새벽이 다가오면 무당도 지쳐서 새보 봇머리에 물의 의식을 하러 나간다. 그제야 굿 구경꾼들도 잠에서 모두 깨어나 졸졸 따라 나선다.
제의에 임한 무당은 춤추고 노래 부르며, 도약하고, 공수한다. 구경꾼들은 이러한 의식에 빠져들어 저절로 믿게 된다. 상 위의 음식 내려 골고루 나누어 먹는다. 참여자들이 한데 어울려 먹고 마시며, 무당과 더불어 춤추고 노래 부름으로써 그 제의가 발휘하는 유희적 기능은 절정에 달한다.
아무렇거나 마을기원을 위한 안택굿은 자기 마음의 위로가 되기에 잘했다고 스스로 믿게 된다. 안택굿과 연결하여 생각하고, 생활하였기에 강가에 살던 우리들은 그렇게 해마다 안택굿을 잘 치르고 살았다.
(20220526. 목)
'엽서수필 5 > 또천달 형산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엽서수필 5) 또천달 형산강 38. 강물은 흐르다 (0) | 2022.05.29 |
---|---|
(엽서수필 5) 또천달 형산강 37. 지게목발소리 (0) | 2022.05.28 |
(엽서수필 5) 또천달 형산강 35. 강과 제웅 (0) | 2022.05.24 |
(엽서수필 5) 또천달 형산강 34. 신작로가 된 강둑 (0) | 2022.05.22 |
(엽서수필 5) 또천달 형산강 33. 김대성 무덤인가 (0) | 2022.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