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성인)푸른 숲 수필가·20100/청림·20100의 습작 시

[스크랩] (청림/산문시-ㅌ)1759.톱 2

청림산문

1759.2

이영백

cafe.daum.net/purnsup

 

나무를 자르는 데만 사용하는 톱이 있는가 하면,

집에서는 모시나 삼을 삶는데 이 도구가 있었다.

모시나 삼을 끝 부분을 잇는데 그것을 긁어 훑는 도구도 톱*이라 한다.

 

우리 집에서는 모시는 구경 잘하지 못했지만,

삼은 해마다 농사를 많이 짓는다.

삼은 껍질을 이용하여 삼베도 짜지만

그 속살 하얀 알맹이를 재랍이라고 하여

아버지 집을 지을 때 지붕에다 초벌로 이는데 쓴다.

 

삼 삶는데 사용하는 톱의 모양이 재미나다.

도구는 도구인데 별 구성이 필요 없다.

그냥 두터운 쇠붙이에 무딘 칼날에 손잡이인 나무가 달린 것뿐이다.

 

그러나 그 도구가 참 편리하다.

삼 잇는 것을 삼 삶는다고 하는데 여성으로서는 고욕이다.

낮에는 논밭 일을 하고, 밤이 오면 방안에서 삼을 삶아야 한다.

 

어머니, 형수, 누나들이 아무런 부끄럼 없이 허연 속살을 내놓는다.

왜냐하면 그 다리 살이 나온 피부 위에다 삼을 비벼야 잇기 때문이다.

삼을 삶는다는 것은 누구나 허연 다리를 무릎 위까지 드러내 놓는다.

 

게으른 며느리 삼가랑 수만 헤아린다.’는 말이 있듯

삼 밑동을 하얗게 속살이 나오도록 톱으로 긁어 훑는다.

그리고 한 밤이 지나도록 기지개를 켜면서 삼을 잇는다.

 

새댁은 신랑이 기다리는 데도 시어머니는 보내주질 않는다.

 

(청림/20100. 20171126.)

*: 모시나 삼을 삶을 때 그 끝을 긁어 훑는데 쓰는 제구.

----------------

李 泳 伯 (1950) 경주. 대구거주. 靑林. 필명 청림숲힐.

교육자 교육행정가 보학가 수필가

-------------------

계명대학교교육대학원 교육학석사/차성이씨중앙대종회 사무총장

) e이야기와 도시 대표/ ) 영남이공대학교 50년사 편찬위원

2012년 월간 한비문학 신인문학상 수필부문수상으로 수필가 등단

한국한비문학회 회원/수필과지성문학회 부회장

6회 한비신인 대상 수상(201212)

LH 여성동아 공동 에세이 공모전 동상 수상(20131)

매일신문사 제1회 매일시니어문학상 논픽션 우수상 수상(20157)

매일신문사 제2회 매일시니어문학상 수필 특선 수상(20167)

10회 한비 작가상 수상(201611)

DGB 50주년 스토리공모전 우수상 수상(2017920)

출처 : 청림작가 이영백
글쓴이 : 청림작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