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청림/산문시-ㅇ)1436.이십팔수二十八宿
청림산문 |
1436.이십팔수二十八宿
이영백
cafe.daum.net/purnsup
시골에서 자랐다.
여름마당에 멍석 펴고 저녁을 먹고 나면
저절로 반듯이 드러누워 하늘에 있는 은하수를 바라다본다.
북쪽에 북두칠성을 기준으로 하여 밤새껏
다른 별자리들이 한 바퀴 돌고 나면 새벽이 온다.
초교 졸업하고 서당에 입문하였다.
천자문 다음으로 동몽선습童蒙先習을 배웠고,
이어서 아버지께서 사 오신 계몽편啓蒙篇을 배웠다.
계몽편 천편天篇 2연에 이십팔수二十八宿* 별자리 이름이 나온다.
동에 각(角) ․ 항(亢) ․ 저(氐) ․ 방(房) ․ 심(心) ․ 미(尾) ․ 기(箕),
서에 규(奎) ․ 루(婁) ․ 위(胃) ․ 묘(卯) ․ 필(畢) ․ 자(觜) ․ 삼(參),
남에 정(井) ․ 귀(鬼) ․ 유(柳) ․ 성(星) ․ 장(張) ․ 익(翼) ․ 진(軫),
북에 두(斗) ․ 우(牛) ․ 여(女) ․ 허(虛) ․ 위(危) ․ 실(室) ․ 벽(壁) 등이다.
소 풀을 베면서도, 산에 나무를 하러 다니면서도
별자리 이름이 재미나 외우기 시작하였다.
물론 학교에서 배운 별자리 이름은 서양식으로
오리온자리, 큰 별자리, 작은 별자리, 페가수스자리 등 이었지만.
계몽편에 나온 28수는 인도 ․ 페르시아 ․ 중국 등에서 정한 별자리였다.
(청림/20100. 20170103.)
*이십팔수二十八宿 : 옛날 인도 ․ 페르시아 ․ 중국 등에서 해와 달과 여러 혹성 등의 소재를 밝히기 위해 황도에 따라 천구天球를 28로 구분한 것. 중국의 구분으로는 동에 각(角) ․ 항(亢) ․ 저(氐) ․ 방(房) ․ 심(心) ․ 미(尾) ․ 기(箕), 서에 규(奎) ․ 루(婁) ․ 위(胃) ․ 묘(卯) ․ 필(畢) ․ 자(觜) ․ 삼(參), 남에 정(井) ․ 귀(鬼) ․ 유(柳) ․ 성(星) ․ 장(張) ․ 익(翼) ․ 진(軫), 북에 두(斗) ․ 우(牛) ․ 여(女) ․ 허(虛) ․ 위(危) ․ 실(室) ․ 벽(壁).
----------------
李 泳 伯 (1950∼) 경주産. 대구거주. 호 靑林. 필명 청림/20100.
●교육자 ●교육행정가 ●보학가 ●수필가
-------------------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교육학석사
○차성이씨중앙대종회 사무총장
현) e이야기와 도시 대표
현) 영남이공대학교 50년사 편찬위원
●2012년 월간 한비문학 신인문학상 수필부문수상으로 수필가 등단
○한국한비문학회 회원
○수필과지성 창작아카데미 수료
●매일신문사 제1회 매일시니어문학상 논픽션부문 우수상 수상(2015년 7월)
●매일신문사 제2회 매일시니어문학상 수필부문 특선 수상(2016년 7월)
●제10회 한비 작가상 수상(2016년 1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