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청림/산문시-o)1347.엽전葉錢
청림산문 |
1347. 엽전葉錢
이영백
cafe.daum.net/purnsup
인간의 생활은 오래 전부터 재화를 사용으로 삶의 척도를 말한다.
요즘은 동전시대다.
그 동전도 이제 제조하려 않을 것이라는데,
조금 전의 시대에는 엽전葉錢*이 통용되었다.
물론 예전의 조개껍데기, 금, 은덩이보다 당시의 엽전은 편리하였다.
엽전은 둥글다.
돈이 엽전이다.
돈은 돈다고 돈인데 그 모양이 둥글고 가운데가 네모났네.
옛날 사람 기운도 좋지,
많은 엽전을 밧줄에 꿰어 짊어지고 다녔으니 그 무지함 속에
애증이 간다.
고려· 조선시대에 만들어 사용하던
鐵錢· 銅錢 및 錫錢 등의 주화鑄貨에 대한 통칭이네.
고려시대의 엽전으로는 無文鐵錢과 동전(동국통보· 동국중보·
해동통보· 해동중보· 삼한통보· 삼한중보 등)이 있었고,
조선시대에는 동전(조선통보· 상평통보, 상평통보에는 당일전· 당백전·
당오전 등이 있다.)과 석전(十錢通寶)가 있었네.
여북하면 유행가 가사에 ‘엽전 열 닷 냥~’이 나오나?
한국 사람들은 돈 중에 엽전을 좋아 하였기에
스스로 자기를 비하하여 엽전이라 비아냥거렸는가?
돈을 모으기만 좋아했기에 여북하면 수전노守錢奴라 하였든가?
(청림/20100. 20161003.)
*엽전葉錢 : ①놋으로 만든 옛날의 돈. 둥글납작하며 가운데에 네모진 구멍이 있음. ②(속)한국 사람을 자학적으로 일컫는 말.
---------------------
(퍼 온 사진)
*최초의 화폐사용 흔적이 실린 "동국사략"
*우리나라 고대의 엽전
*현재의 우리나라 동전
*고대 중국의 돈
*고대 인도의 동전
----------------
李 泳 伯 (1950∼) 경주産. 대구거주. 호 靑林. 필명 청림/20100.
●교육자 ●교육행정가 ●보학가 ●수필가
-------------------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교육학석사
○차성이씨중앙대종회 사무총장
현) e야기와 도시 대표
현) 영남이공대학교 50년사 편찬위원
●2012년 월간 한비문학 신인문학상 수필부문수상으로 수필가 등단
○한국한비문학회 회원
○수필과지성 창작아카데미 수료
●매일신문사 제1회 매일시니어문학상 논픽션부문 우수상 수상(2015년 7월)
●매일신문사 제2회 매일시니어문학상 수필부문 특선 수상(2016년 7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