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청림/산문시-o)1279.앞치마
청림산문 |
1279. 앞치마
이영백
cafe.daum.net/purnsup
치마는 여성만 입는가?
특히 앞치마*는 여성만 입는가?
앞치마는 중종 12년(1517)에 발간된 사성통해四聲通解에
‘한자한자쵸마’라는 표기가 나오고,
1527년에 나온 훈몽자회訓蒙字會 등 여러 문헌에도 나와 있네.
행주치마는 권율장군의 행주대첩(1593년)에서 나왔다는 설이 있고,
또, 불법에 귀의하기 위해서 절로 출가를 하면 계(戒)를 받기 전까지는
‘행자’라는 호칭으로 불린다.
수행승인 행자가 주로 하는 일이 아궁이에 불 때고 밥 짓는 부엌일이었다.
행자가 부엌일을 할 때 작업용으로 치마 같은 천을 허리에 두르고 했는데
그것을 ‘행자 치마’라 했으니 바로 오늘날의 ‘행주치마’라는 얘기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주부들은 앞치마를 입는다.
앞치마는 여성의 의복 장식으로 입기도 한다.
상업기관에서는 남녀 근로자들의 옷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옷 외에도, 앞치마는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고무 앞치마는 위험한 화학물질을 다룰 때 사용한다.
납 앞치마는 방사선과 가까이 일하는 X-레이 기술자가 주로 입는다.
목수가 입는 앞치마는 공구를 담기 위한 주머니가 있다.
방수 가정용 앞치마는 유포 또는 폴리염화 비닐로 만들어져
요리와 식기 세척 때 사용한다.
오늘날 앞치마는 위생적인 이유로 아주 일부분에 제한되고 있다.
엄마가 입던 앞치마는 부엌에서 일하고 물기를 닦는 수건역할을 했다네.
(청림/20100. 20160727.)
*앞치마 : 몸 앞을 가리는 겉치마.
---------------------
(퍼 온 사진)
*고무앞치마와 고무잡갑을 끼고서
----------------
李 泳 伯 (1950∼) 경주産. 대구거주. 호 靑林. 필명 청림/20100.
●교육자 ●교육행정가 ●보학가 ●수필가
-------------------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교육학석사
○차성이씨중앙대종회 사무총장
현) e이야기와 도시 대표
현) 영남이공대학교 50년사 편찬위원
●2012년 월간 한비문학 신인문학상 수필부문수상으로 수필가 등단
○한국한비문학회 회원
○수필과지성 창작아카데미 수료
●매일신문사 제1회 매일시니어문학상 논픽션부문 우수상 수상(2015년 7월)
●매일신문사 제2회 매일시니어문학상 수필부문 특선 수상(2016년 7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