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성인)푸른 숲 수필가·20100/청림·20100의 습작 시

[스크랩] 청림/산문시-o)1273.앉은뱅이

청림수필작가 2016. 7. 21. 09:30

청림산문

1273. 앉은뱅이

이영백

cafe.daum.net/purnsup

삼라만상에 만물들이

살았건 죽었건, 생물이건 무생물이건

저 나름대로 명칭이 쏟아진다.

그 중에서도

앉은뱅이* 의자, -책상, -술, -저울, -선풍기, -밀국수 등이 있고,

-꽃, -방울토마토, -밀, -토마토 등도 있네.


내가 앉은뱅이 이 단어를 선택한 것은

선천적이거나 혹은 후천적인 이유로 일어설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하여,

늘 앉을 수밖에 없는 사람에 대한 슬픔을 보고자하였다.


발을 세우지 못하는 불구자, 좌객坐客이라고도 하는데,

세상에 두 발로 훌륭하게 마음대로 걸을 수만 있다면 하는

한없는 한이 보이듯 뼈 아파오기 때문이다.

이.


그러나 나는 우리나라의 밀에서 보면

일반 밀(약 1m 정도)보다 앉은뱅이 밀(70~80m)은 키가 작다.

미국 노먼 볼로그 농학자가 우리나라 앉은뱅이 밀 종자를 수입해 가서

멕시코에서 수확량이 많고 병해에 강한 키 작은 밀 품종을 만들어냈다.

1963년부터 밀 수출국이 되었고, 바로 ‘녹색혁명’을 일으켰다.


키 작은 앉은뱅이 밀이 사람의 삶에 희망을 주듯

무릇 앉은뱅이라는 말로서 희망도 줄 수 있다는 것을 나는 알았다.

(청림/20100. 20160721.)

*앉은뱅이 : 발을 세우지 못하는 불구자. 좌객坐客.

---------------------

(퍼 온 사진)

*앉은뱅이 밀

*앉은뱅이 밀

* 잘 자란 앉은뱅이 밀

*앉은뱅이 밀밭 - 수확하는 날

----------------

李 泳 伯 (1950∼) 경주産. 대구거주. 호 靑林. 필명 청림/20100.

●교육자 ●교육행정가 ●보학가 ●수필가

-------------------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교육학석사

○차성이씨중앙대종회 사무총장

현) e이야기와 도시 대표

현) 영남이공대학교 50년사 편찬위원

●2012년 월간 한비문학 신인문학상 수필부문수상으로 수필가 등단

○한국한비문학회 회원

○수필과지성 창작아카데미 수료

●매일신문사 제1회 매일시니어문학상 논픽션부문 우수상 수상(2015년 7월)

●매일신문사 제2회 매일시니어문학상 수필부문 특선 수상(2016년 7월)

출처 : 청림/20100/수필가 이영백
글쓴이 : 2청림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