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청림/20100산문시-ㅅ)1243.신금信禽
청림산문 |
1243. 신금信禽
이영백
cafe.daum.net/purnsup
새의 별칭이 많이도 있다네.
첫째, 공작孔雀은 문금(文禽) 혹은 봉우(鳳友)라고 한다네.
둘째, 기러기는 신금(信禽)*, 양조(陽鳥), 삭금(朔禽)이라고도 한다네.
셋째, 까마귀는 반포조(反哺鳥), 자조(慈鳥), 자오(慈烏), 오중지승참(烏中之曾參), 한아(寒鴉), 효조(孝鳥), 흑조(黑鳥)라네.
넷째, 까치는 희작(喜鵲), 관작(-鵲)이라네.
다섯째, 꾀꼬리는 금의공자(錦衣公子), 왕모(王母), 황앵(黃鶯), 황작(黃雀), 황조(黃鳥)라네.
여섯째, 꿩은 산계(山鷄), 산양(山梁), 야계(野鷄), 화충(華蟲) 이라네.
일곱째, 노고지리(종달이)는 고천자(告天子), 규천자(叫天子), 종지조(從地鳥), 운작(雲雀)이라고도 한다네.
여덟째, 두견은 귀촉도(歸蜀道), 두백(杜魄), 두우(杜宇), 불여귀(不如歸), 선객(仙客), 자규(子規), 제결(鶗鴂), 주연(周燕) 등…. 끝도 없네.
아홉째, 두루미는 백학(白鶴), 선학(仙鶴), 선금(仙禽), 야학(野鶴), 선객(仙客), 양조(陽鳥), 음우(陰羽), 태선(殆仙) 이라네.
열째, 따오기는 주앵(朱鶯)이라네.
기럭은 기러기의 울음소리가 아니고, 날으는 모양이다.
(청림/20100. 20160617.) *신금信禽 : 기러기.
---------------------
(퍼 온 사진)
----------------
李 泳 伯 (1950∼) 경주産. 대구거주. 호 靑林. 필명 청림/20100.
●교육자 ●교육행정가 ●보학가 ●수필가
-------------------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교육학석사
○차성이씨중앙대종회 사무총장
현) e이야기와 도시 대표
현) 영남이공대학교 50년사 편찬위원
●2012년 월간 한비문학 신인문학상 수필부문수상으로 수필가 등단
○한국한비문학회 회원
○수필과지성 창작아카데미 수료
●매일신문사 제1회 매일시니어문학상 논픽션부문 우수상 수상(2015년 7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