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청림/20100산문시-ㅂ)948.불두화佛頭花
청림산문 |
948. 불두화佛頭花
이영백
cafe.daum.net/purnsup
나는 불두화佛頭花*를 잘 모릅니다.
아마도 부처 머리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인가 봅니다.
꼭두서니목 인동과의 낙엽 활엽 관목으로
꽃이 처음엔 연둣빛이다가
활짝 피면서 점점 흰색이 됩니다.
영어로는 snowball tree라고 하는데,
마치 눈덩이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불두화는 부처님 오신 날인 음력 4월 초파일 전후에
산방꽃차례로 공처럼 둥글게 꽃이 핍니다.
불두화는 잎 끝 부분이 세 갈래로 갈라져 있습니다.
하얀 고깔을 연상해서 ‘승무화僧舞花’,
사발을 닮아서 ‘사발 꽃’,
북한에서는 ‘큰 접시꽃’이라 부릅니다.
‘절 나무’라 부르는 이 꽃은 번식력이 없습니다.
백당나무를 개량하여 아름다움을 위해 생식기능을 없앴습니다.
꽃은 탐스러우나 무성화(無性花) 이어서 암술과 수술이 없습니다.
씨를 맺지 못합니다.
스스로 번식할 수 없으므로 꺾꽂이를 통해서만 번식할 수 있습니다.
정진하는 스님들과 닮은 꽃입니다.
세 갈래로 갈라진 잎은 불(佛)ㆍ법(法)ㆍ승(僧)을 상징합니다.
꽃말까지 부처의 가르침인 ‘제행무상(諸行無常)’입니다.
‘절 꽃’에 틀림없습니다.
(청림/20100. 20150827.)
*불두화佛頭花 : 불두화 나무의 꽃.
*---나무 : (식) 인동과의 낙엽 활엽 관목. 산에 나는 데, 높이 3m, 여름에 순백색의 무성화가 한데 모이어 큰 구형으로 핌.
----------------
(퍼 온 사진)
*불두화 佛頭花
*불국사 뒷뜰
----------------
李 泳 伯 (1950∼) 경주産. 대구거주. 호 靑林. 필명 청림/20100.
●교육자 ●교육행정가 ●보학가 ●수필가
-------------------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교육학석사
○차성이씨중앙대종회 사무총장
현) e이야기와 도시 대표
●2012년 월간 한비문학 신인문학상 수필부문수상으로 수필가 등단
○한국한비문학회 회원
●매일신문사 제1회 매일시니어문학상 논픽션부문 우수상 수상(2015년 7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