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성인)푸른 숲 수필가·20100/청림·20100의 습작 시
[스크랩] (푸른 숲/20100습작 시-ㅁ)693.목달이
청림수필작가
2014. 12. 14. 13:44
신작시 |
693. 목달이
이영백
cafe.daum.net/purnsup
옛날 동화적 같은 시대에
멀지않게 나는 그때부터 살았네.
내자는 나를 보고 부시맨이었냐고 놀래댄다.
현실은 그랬다.
어렸을 땐 집에 가면 고무신을 신지 못했다.
오직 짚신뿐이었다.
비가 오는 날에는 짚신을 또 못 신는다.
짚신을 비오는 날에 신으면 물에 젖어 무거워지고 나중에는 버려진다.
발에 신는 신발조차 이랬는데
발에 걸치는 발싸개가 있었겠는가?
양말이라는 것이 어른들이 신고 바닥이 다 닳고 없는 양말을
발등 위로만 있는 양말을
경주 사투리로 “목거리”라 했는데
오늘 찾은 이 낱말 “목달이*”가 표준말이네.
옛날에는 어른들도 버선을 신었네.
어린 날 서당에 들리면 훈장님의 발에는 버선이요,
신는 신발은 코가 있는 백고무신이었다네.
목달이라도 얻어 신을 수 있는 것은
그나마 위에 형님들이 많아서
신고 닳아빠진 양말, 목달이가 수북했으니 참 다행한 일이었지.
형님이 많지 않았다면 목달이도 없었겠지.
추석빔이나 설빔에서 알록달록 색 양말 신었던 때가 가장 좋았지.
(푸른 숲/20100. 20141214.)
*목달이 : ①버선목의 안찝 헝겊이 겉으로 걸쳐 넘어와서 목이 된 버선. ②밑바닥은 다 헤어지고 발등만 덮이는 버선.
---------------------
(퍼 온 사진)
출처 : 푸른 숲/20100(수필가 이영백)
글쓴이 : 62seonsang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