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성인)푸른 숲 수필가·20100/청림수필집·이군훈의 단풍하사

[스크랩] (푸른 숲 제8수필집)이군훈의 단풍하사-04.RNTC훈련병

청림수필작가 2013. 5. 29. 14:34

신작수필

04. RNTC훈련병

이 영백

cafe.daum.net/purnsup

 RNRC 제4기 무관후보생들의 까마득한 이야기는 비로소 시작이 된다. 1971년 3월 첫 주부터입단식이 있고부터 교번이 배정되고서는 말이 대학생이지 어디 그런 대학생이 있단 말인가?  바로 군대 훈련이 시작되는 훈련병이었기 때문이다.

 RNRC무관후보생이 되면 27과목의 군사과목이 학내 연병장, 강의장 등에서 훈련으로 이수하여야 한다.

 교육목표는 군 초급간부(=하사관)로서 기초전술 전기와 분대 지휘능력 배양에 있으며, 교육은 학교교육과 병영교육으로 구분되는데 학교교육은 주당 1년차 9시간, 2년차 6시간으로 아울러 병영교육은 1·2년차 공히 3주간씩 이수하여야 한다. 대한민국 RNTC무관후보생 훈련시간은 총7백50시간이었다.

*대한민국 RNTC무관후보생 훈련시간 현황

구 분

훈련 등 시수 내역

소계

비고

● 학내

1-1학기

○ 16주×3일×3시간=144시간

144

 

1-2학기

○ 16주×3일×3시간=144시간

144

 

2-1학기

○ 16주×2일×3시간= 96시간

96

 

2-2학기

○ 16주×2일×3시간= 96시간

96

480

● 병영

1년차

월∼금

○   3주×5일×8시간=120시간

120

 

○   3주×1일×4시간= 12시간

12

 

2년차

월∼금

○   3주×5일×8시간=120시간

120

 

○   3주×1일×4시간= 12시간

12

264

  ● 의전

○ 입단식, 임관식 준비 등

6

6

합 계

 

750

 

 RNRC교육의 특징은 이론과 실습 위주의 교육으로, 리더십과 관리능력 배양 등 초급간부 자질 향상과 대학생활, 조직생활을 조화 있게 발전시켜 개인능력을 계발하는 것이다.

 RNRC 입영훈련은 하계방학을 이용하여 132시간(3週)을 교육받으며, 주요 내용은 분대전투 등 분대장으로서 필요한 기초전술, 분대지휘법, 독도법, 화기학 그리고 내무생활을 통한 군인정신의 함양 등이고 특징은 실기실습 위주의 체험훈련과 전술 능력배양 그리고 리더십, 협동심, 인내력, 담력 등 병영생활을 통한 호연지기를 함양하는 것이다.

 1년차는 병영훈련으로 자신의 체력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할 수가 있다. 야간훈련과 행군으로 체력이 아닌 정신력으로도 버텨낼 수 있다는 것을 배울 수 있으며, 처음으로 동기애를 느낄 수 있다. 밥 먹고, 잠자고 훈련받는 것 모두를 자신의 동기와 함께 겪으면서 깊은 동기애를 느낄 수 있다.

 2년차는 1년차 때의 훈련의 반복이며, 주로 지휘능력을 배우게 된다. 즉, 직접 분대부하들을 육성으로 다스리는 것을 배운다. 실무분대의 분위기를 느껴서 자신이 분대장으로 임관해서 빠른 시간에 부대를 적응할 수 있게 하기위한 실습이다.

 RNRC 무관후보생은 장장 2년간 학군단에서 “이론+실습+(종합)평가”를 통한 교육을 받는다. 그리고 1년차에 8월 중 3주간 입영훈련, 2년차 8월 중 3주간 입영훈련을 받고, 아울러 5관구사령부에서 현역교관들이 27과목 훈련에 대한 이론시험과 실기를 개인별로 평가받아서 60점 이상으로 통과하여야 국방부에서 제대를 시켜 주는 것이다.

 이런 대장정의 과정을 거쳐야 현역입영을 면제하고, 예비역이 된다. 그러나 조건이 있다. 바로 현역 군복무를 유예 받고서 초등학교 교사로서 8년간 복무(1978년에 가서야 5년으로 단축함)를 하여야 해제된다는 것이다. 교사복무중 문제가 생겨 만약에 교사직이 면직된다면 현역 하사관 병사로 복무명령이 바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무서운 족쇄가 기다리는 것이다.

 군사훈련 과목에는 별 희한한 과목이 다 있었다.

 ① 제식훈련, ② 군 예절, ③ 화기학(M1소총 이론), ④ 화기학(M1소총 조작실습), ⑤ 화기학(AR소총 이론 및 조작실습), ⑥ 수·총류탄(M79유탄 발사기 포함), ⑦ 경계법, ⑧ 독도법, ⑨ 총검술, ⑩ 통솔법, ⑪ 사격술(M1, AR, CAR. 등), ⑫ 분대 이동법(대형이동, 개인이동-포복, 응용포복 등), ⑬ 군 체조(국군도수체조), ⑭ 군 태권도(천지형, 단군형 이수), ⑮ 화생방전, ⑯ 분대장 임무, ⑰ 소대장 임무, ⑱ 화기학(CARBINE 이론 및 조작실습), ⑲ 부대 지휘법, ⑳ 화기학(60mm박격포 이론), ㉑ 화기학(3.5인치 로켓포 이론), ㉒ 화기학(106mm무반동총 이론), ㉓ 축성법築城法, ㉔ 군인 정신, ㉕ 입영훈련Ⅰ, ㉖ 입영훈련Ⅱ, ㉗ 군 의전행사.

처음에는 대학생활도 고등학교와는 달리 강의실을 찾아 가는 것도 시간에 쫓기고, 교육대학은 실습재료도 많아서 들고 다니기가 무척 불편하였다. 오전에는 교복을 입고 가방 들고 준비물 들고 그래도 제법 대학생 티가 났다.

 1학년 1년차 훈련기간에는 처음에 오전 수업을 마치고서 급히 점심을 해결하고, 빈 강의실에 들어가서 훈련복으로 갈아입고 모자를 쓰고 군화를 신고 병사의 기본준비를 하여 훈련에 들어가야 한다.

 정말 1주일이 어떻게 지나가는 줄 모르고 대학과 군대생활에 뒤죽박죽이 되곤 하였다. 가지고 다니는 물건이 많아서 아예 교실 하나씩을 지정받아 개인 소지품을 넣고서는 대의원이 자물쇠로 채워야만 했다.

 교복, 가방, 신발 등을 모두 벗어 놓고 군복을 갈아입고 군화를 신고, 군모를 쓰면 영락없는 군대 훈련생으로 변하는 순간이었다. 군사훈련시간에는 지각도 허용되지 아니 하였다.

 1년차는 4구대가 편성되고, 자연히 학군단장 아래 4명의 교관이 있었고, 조교는 8명이었다. 1년차는 월·수·금, 2년차는 화·목요일 교관들은 1주 내내 오후에 교육을 하였고, 조교는 1년차, 2년차에 담당 조교가 있어서 8명이 되었다.

 나는 2반 이었으므로 자연이 2구대로 편성 되었다. 조교는 K조교이었는데 아주 친절하여서 우리에게는 군 선배와 조교로서 깍듯이 대접하여 드렸다. 군사 이론과목은 교관이 강의를 하지만, 군사과목 중 실습과목은 모두가 조교들의 몫으로 그 평가도 조교가 직접 하기에 좋은 인상을 심어 주어야 했기 때문이었다.

 교육대학 운동장은 군 연병장이 되었다. 3월 오후이지만 대구 앞산에 눈이 덜 녹아 손에 쥔 M1소총의 쇠붙이가 맨손 살갗에 달라붙었다. 그 차가움으로 손가락이 얼어 버렸다. 군 훈련은 어디까지나 군 훈련이기 때문에 소홀히 할 수도 없었다.

 우리가 군대 훈련을 받는 동안에 예비역 출신이나 끝까지 RNTC에 입단하지 않은 남학생은 여학생들과 놀러 다니고, 동아리활동 한답시고 어울려 다니는 모습을 보는 우리들의 마음이 어떠했겠는가?

 정말 오전에는 대학생, 오후에는 군 훈련병으로 변하였다. 1년차 1주일에 월·수·금 3일간은 교육대학 생활에서 가장 바쁜 인생을 만들어 주었다. 이는 평생 삶에서 어려운 시절을 만들어 주는 것이었다.

 자취생으로서는 아침도 잘 해 먹지 못하고 값싼 국수로 때우고 군 훈련을 받아야 했다. 훈련을 마치면 아르바이트하러 나간다. 돈벌이 하러 나가야 한다. 매일 3시간(오후 6시부터 9시까지)씩 가정교사를 하여 월7천원을 벌었다.

 밤이 되면 학내로 돌아와서 밤10시 반까지 매일 1시간씩 오르간 연습을 하여야 했다. 오전, 오후, 밤, 늦은 밤으로 가난한 우리 교육대학생들은 1인 5역(대학 공부, 군 훈련, 자취, 아르바이트, 오르간 연습 등)을 견뎌야 하는 괴로운 인생살이를 시작하였다. 󰃁

출처 : 푸른 숲/20100
글쓴이 : 62seonsang 원글보기
메모 :